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

(114)
[KB 시계열, 주간시황] 부동산 시장에도 CPR이 필요하다. 지난주 전국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입니다. 경기도와 인천의 상황이 매우 심각합니다. 제주, 강원, 충남, 충북, 전남, 경북은 다행히도 하락세가 매우 낮았습니다. 주간 전국 아파트 전세가 변동입니다. 매매가 처럼 경기, 인천의 전세가 하락이 심각합니다. 반면 제주, 강원, 충남, 충북, 경북, 전북, 전남 지역의 전세가는 보합 수준입니다. 시계열 통계로 좀더 자세히 보겠습니다. 이번주 매매가 상승 1위는 원주 이나 상승율은 미미합니다. 전주 덕진구와 제주/서귀포도 금리 인상기에 가격을 잘 바어하고 있네요. ​​이번주에 전세가가 크게 오른 지역은 없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강원도와 전주 지역의 전세가는 보합 혹은 상승세 입니다. ​​지역별 매매가 흐름 입니다. 지난주와 똑같은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4년 부터 아파트 물량이 줄어든다. '22년도 3분기 인허가 물량 통계가 보도되었습니다. 이번 분기에는 인허가 물량이 눈에 띄게 감소했네요. (9.5% 하락) 올해는 착공 실적도 좋지 못합니다. 보통 착공후 2-3년 인내에 완공되는 것을 감안하면, 20년 물량이 지금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요. 내년에도 21년 물량이 부담을 줄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내년말 부터는 공급량 줄어 들므로 24년 부터는 시장의 상승을 한번 더 기대해 볼수 있겠습니다. 아시는 것처럼, 내년에도 착공 물량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됩니다. 미분양 증가와 PF 부실로 인한 건설사 파산 이슈가 기다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3기 신도시 건설에도 큰 영향을 미칠것으로 보여 집니다. 아마도 일정이 상당히 더 지연되거나 당초보다 규모가 축소될 가능성이 큽니다. 물량이 주..
[KB 주간시황, 시계열] 악재뒤에는 항상 호재가 있다.(10/28) 지난주 전국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을 보면 대전, 인천, 세종이 가장 안좋았고 전북, 제주, 강원, 충북, 경남, 경북은 하락세가 매우 낮았습니다. 전국 아파트 전세가 변동을 보면, 매매가와 지역이 비슷합니다. 인천, 울산의 전세가가 큰 폭으로 하락했고 전북, 제주, 강원, 경북, 충북, 전남 지역의 전세가는 보합 수준입니다. 시계열 통계로 좀더 자세히 보겠습니다. 이번주 상승 1위는 전주 완산구 이나 상승율은 미미합니다. 그렇지만 금리인상으로 인한 발작 장세에 상승세를 보인다는 것은 대단한 일입니다. ​​이번주에 전세가가 크게 오른 지역은 없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강원도와 전주 지역의 전세가는 보합 혹은 상승세 입니다. ​​지역별 매매가 흐름 입니다. 서울, 경기, 인천은 동반 하락 중입니다. ..
서울시, 강변도로 지하화 추진 (가양대교~영동대교 정체구간) 서울시가 강변북로 지하화를 추진합니다. 노선은 가양대교에서 영동대교까지 17km 인데요. 주중 주말 가릴것 없이 늘 막히는 도로로 유명한 곳입니다. 강변북로 지하화가 예정된 노선을 그려 보았습니다. 호재 지역은 마포구, 여의도, 용산구, 성동구가 되겠습니다. 특히 강변에 붙어 있는 아파트 단지들은 대형 호재꺼리 입니다. 한강과 단절된 지역이 도보로 접근 가능한 곳으로 바뀌기 때문입니다. 한남재개발, 성수재개발 지역은 신나겠습니다. 성동구는 또 하나의 지하화 이벤트가 진행중입니다. 동부간선도로 지하화가 그것인데요. 강남까지 연결되는 도로이므로 같이 보셔야 합니다. 지난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https://blog.naver.com/romeo21a/222711743709 서울시, 동부간선도로 지하화 곧 착공..
서울시 모아타운 지역 발표 (수요를 죽였는데 추진이 잘될까?) 지난 6월에 서울시에서 접수한 모아타운 지역이 선정되어 발표 되었습니다. 총 39곳이 신청을 했는데 26곳이 선정되었네요. 권리산정기준일은 10월 27일이니 3일 남았습니다. 아마도 핫한 지역은 투자자들이 지금 달려가서 등기 치고 있을듯 합니다. 미선정된 지역도 눈여겨 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개인적으로 응봉 지역은 2년전에 경매 물건으로 나온 빌라를 본 적이 있었는데요. 아쉬움이 남습니다. 또 좋은 지역이 나오겠죠. 서울에는 아직도 좋은 곳에 썩빌이 많습니다. 모아주택의 리스크라면 건설 단가 상승으로 인한 가구당 부담금 증가를 들수 있겠고 입지가 안좋은 곳들은 건설사의 외면을 받을수 있겠는데요. 정부 규제로 거래량이 급감한 지금 건설사들은 자금 조달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데요 모아주택 추진에는 걸림돌이 될..
[KB 주간시황, 시계열] 3년 뒤에 3기 신도시 지을 건설사가 남아 있을까? 수요층 육성 대책이 필요하다. (10/17) 미국 금리인상발 충격으로 부동산 시장은 매우 민감한 반응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른바 발작 장세 입니다. 이럴때일수록 적극적인 정부의 부동산 대책이 필요해 보이는데 이상하게도 대책이 전혀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오히려 장관은 나서서 집값이 30-40% 더 떨어져야 한다고 하는데요... 과연 집값이 그렇게 반토막이 나면 모두 행복해 질까요? 자산디플레가 얼마나 위험한지 지난 포스팅에서 말씀 드린 적이 있습니다만.. https://blog.naver.com/romeo21a/222605504470 자산 디플레이션이 온다면.. 부동산은 너무 올라도 자산 양극화 문제를 일으키게 되고, 급락하게 되면 국가 경제에 심각한 타격을 임힐... blog.naver.com 우리는 경험했습니다. 경제 펀드멘탈이 튼튼하다고 한 ..
신 중부권 내륙고속도로 (괴산-제천) 중부권 내륙을 이어주는 새로운 고속도로가 추진중입니다. 이 고속도로는 중부내륙 고속도로와 중앙 고속도로를 이어주는 링커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 되는데요. 제천과 괴산을 이어주는 노선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이 고속도로는 충주호와 월악산국립공원 중간을 관통하게 되는데요. 천혜의 자연환경에 대한 접근성을 고려한 노선으로 보입니다. 관련 뉴스 입니다. https://www.ccreview.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3656 중부권 내륙고속도로 가시화 - 충청리뷰 중앙고속도로 남제천IC와 중부내륙고속로 수안보를 연결하는 ‘중부권 내륙고속도로’ 건설사업이 정부 주도로 추진된다.국민의힘 엄태영 국회의원(제천·단양)에 따르면 국토부는 ‘중부권 www.ccreview.co.kr 올해..
춘천~속초 동서고속철도 착공식 (10/18) 이 철도 노선 착공을 강원도는 35년을 기다렸군요. 오랜 시간이었습니다. 이로서 강원도는 원주-강릉선에 이어 새로운 고속철도 노선을 가지게 됩니다. 2027년에는 많은 일이 강원도에 있는데요. 동해선 전구간, 부산(부전)-울산-강릉-속초-고성 노선이 완성되는 해이기도 합니다. 강릉과 속초에서 환승이 가능해 집니다. 강원도는 아래 뉴스 기사처럼 일자형 철도망 구축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원주-춘천선은 철원으로 이어지고 제천과 삼척을 이어주는 철도망 구축을 추진중입니다. 그러나 이 노선들은 경제성 문제로 예타면제를 받아야 할텐데요. 새로운 정권이 예타 면제 기준을 상향하는 바람에 철도 계획에 포함 될련지는 계속 지켜봐야 겠습니다. 관련 뉴스 입니다. http://m.kwnews.co.kr/page/view/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