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움도 지나고 나서 돌아보면 금방이었습니다. 지나고 나서 아쉬움이 남지 않도록 투자와 부동산 공부에 더욱더 매진해야 겠습니다. 하락장에 배우는 것이 더 많은 법입니다.
KB 주간시황 입니다.
이번주 1위는 김천이 차지했습니다. 김천은 이번주에 전세가도 동반 상승했습니다. 경기 양주, 수원, 김포 등 경기도와 인천 지역은 계속 하락중입니다. 정부가 취득세와 대출규제를 풀어야 심리가 살아날텐데요. 몇몇 은행과 기업들이 도산 위기를 맞이한 후에 비로소 사후 조치가 이루어 질듯하여 걱정이 됩니다. 금리 상승으로 인한 일시적 금융 경색이 예상된다면 과감한 선제 규제 완화로 대비해야 합니다.

이번주에 전세가가 가장 많이 오른 지역은 김천, 이천, 창원, 전주, 포항 입니다. 전세가가 크게 하락중인 곳은 인천, 김포, 고양 지역입니다.
- 하락 전환 : 없음
- 하락세가 강한 지역 : 인천, 세종, 경기
- 하락세가 줄어든 지역 : 대구, 대전
- 상승 지역 : 경북(김천)

지역별 전세가 흐름입니다. 매매가 추세와 달리 상승세를 보이는 곳이 몇 곳 있습니다.
- 하락 전환 : 광주광역시
- 하락세가 강한 지역 : 인천, 세종, 경기
- 하락세가 줄어든 지역 : 없음
- 상승 지역 : 강원(강릉), 충남(공주), 전북(전주,군산), 경북(김천, 포항남구), 경남(창원성산)
지역별 KB 부동산 시황입니다.
[ 매매 ]
서울
노원구
전고점 대비 25% 이상 하락한 실거래가 나오고 있으며, 상계동, 월계동, 공릉동 등에서 30년 이상 구축아파트들의 매매가격이 약세를 보이고 있다.
구로구
금리상승으로 인한 매수심리 악화, 전세자금 대출이자 부담 등으로 매매가와 전세가가 동반하락하고 있다. 그동안 귀한 편이던 중소형 매물도 점점 늘고 있으나 거래가 되지 않고 쌓이고 있다. 금주는 구로동 일대 아파트 가격이 하락했다.
경기
의정부
인근 양주옥정신도시 입주물량의 여파로 급매물이 나오고는 있으나 매수세가 없어 거래절벽 상태이다. 신곡동 대단지 아파트들의 매물이 쌓이면서 가격이 하락하고 있다.
인천
남동구
구월동의 준신축 대단지 뿐만 아니라, 만수동 소형 구축아파트들의 매매가도 하락하고 있다. 남동구는 올해 입주물량이 없지만 인접한 미추홀구와 부평구 등 인천 전체적으로 입주물량이 많은 편이라 영향을 받고 있다.
광역
대전 유성구
둔곡동에서 11월부터 대전둔곡우미린(760세대), 12월 유성둔곡지구서한이다음1,2단지(1501세대)의 입주가 시작될 예정이다. 조정지역해제 이후에도 이렇다 할 변화는 없으며, 양도세 중과유예 기한 안에 처분하려는 급매물들이 나오고 있다.
지방
청주 서원구
매물들이 소진되지 않아 매도자들이 호가를 점차 낮추고 있으나 급매물에도 매수자 반응은 아직 없다. 이번 주는 개신동과 수곡동의 저가 구축아파트들이 하락세를 보였다.
[ 전세 ]
서울
동대문구
임차인들이 되도록 움직이지 않으려고 하는 가운데, 용두동 래미안엘리니티(1048세대) 입주 여파로 전세가는 한동안 약세를 보일 전망이며, 내년 초부터는 청량리역 주상복합들의 입주가 이어질 예정이다.
송파구
반전세나 월세를 구하는 임차인이 전세수요보다 더 많은 편이다. 거래는 매우 한산하여 임대인들이 전세호가를 일부 조정하고 있다. 금주는 방이동 대단지의 전세가격이 하락했다.
경기
김포
전세수요는 줄었으나 인접한 인천 검단신도시 대규모 입주물량의 영향으로 전세물건이 쌓이고 있다. 검단신도시 바로 옆의 풍무동 전세가가 특히 약세이다.
인천
연수구
작년에 큰 폭으로 상승한 송도동의 대단지와 옥련동 구축 전세가가 하락하고 있다. 8월부터 입주를 시작한 송도더샵프라임뷰F20-1BL(662세대)의 물량이 아직 많이 남아있는데다, 내년에도 8공구 등에서 대단지 입주가 이어질 예정이다.
광역
부산
부산진구
9월부터 전포동 e편한세상시민공원1,2단지(1401세대), 연지동 래미안어반파크(2616세대) 등 대단지 아파트의 신규전세물량이 쏟아지고 있지만 거래가 잘 되지 않고 있다. 전포동 등 신규 입주단지 인근의 구축 전세가가 하락하고 있다.
지방
창원 성산구
신월2구역 주공(1500세대)이 9월부터 이주를 시작하면서 대규모 이주수요로 전세가격이 소폭 상승세이다. 상남동과 신월동에 재건축 진행 중인 아파트들이 많지만 창원의 입주물량은 내년 하반기 마산합포구에 집중되어 있다.
너무 쫄지 마시고 리스크 관리 잘하시기 바랍니다. 악재도 여러개지만 다가올 호재도 여러개 입니다. 악재가 하나씩 사라지고 호재가 등장하면 심리는 다시 살아날 것입니다. 내년 U자 반등을 기대합니다.
- 러시아, 우크라이나 전쟁 종식 (러시아 패)
- 월세전환율 8% 육박 (전세 수요 급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