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시도별 아파트 매매가격 변동입니다.
인천, 대전, 경기, 대구의 하락세가 심한 한 주였습니다.
반면 제주, 강원, 경북, 울산은 하락세가 매우 낮았습니다.

주간 전국 아파트 전세가 변동입니다.
세종의 전세가가 계속 크게 하락중이고 인천, 경기, 대구, 서울의 전세가 하락세가 강한 한주 였습니다.
반면 제주, 경북, 강원, 전남, 울산, 전북 지역은 전세가 하락세가 매우 낮았습니다.
.

KB 시계열 통계로 좀더 자세히 보겠습니다.
높은 상승세를 보인 지역이 두달전부터 사라졌습니다.

이번주에 전세가가 크게 오른 지역은 없었습니다.
다만 안동, 목포, 제주 등 고금리에대 전세가가 오른 지역들이 있는데요.
주목해야 할 곳들입니다. 금리 이슈가 사라지면 먼저 출발할 곳들일수 있습니다.
그러나 전세가가 많이 떨어진 곳들은 당분간 힘들것으로 보입니다.

지역별 매매가 흐름 입니다.
지난주에 정부가 다주택자를 죽이는 정책을 폐기 하지 않으면 더 큰 폭락을 보일수 있다고 말씀드렸는데요.
그동안 잘 버티던 지역까지 하락세가 번지고 있습니다.
충청도와 전라도 지역은 매가 급락을 보여 다소 당황스러울 정도 입니다.
이제는 제주도를 제외한 전 지역이 하락장입니다.

지역별 전세가 흐름 입니다.
지난주에 보합세를 보였던 강원, 충청, 전라, 경남 지역의 전세가가 하락하기 시작했습니다.
경남과 제주를 제외한 모든 지역의 전세가가 무너지고 있습니다.
지역별 KB 부동산 시황입니다.
[ 매매 ]
서울
노원구
금리인상으로 인한 대출이자 부담, 추가적인 가격조정에 대한 우려로 매수심리는 여전히 얼어붙어 있다. 향후 예정된 서울의 대단지 분양에 대한 기대감도 있어 전고점 대비 큰 폭으로 하락한 매도호가에도 적극적인 매수대기자가 거의 없다.
양천구
15억 초과 아파트에 대한 주택담보대출 허용 발표에도 시장은 여전히 조용하다. 고가단지가 많은 목동은 DSR 규제로 갈아타기 수요가 제한적이라 반응이 크지 않다. 재건축 안전진단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있긴 하지만 매수세가 쉽게 나오지 않고 있다.
경기
오산
규제지역 해제로 오를 거라고 생각하는 매도자들도 있지만 저렴한 급매물 위주로 드물게 거래될 뿐 매우 한산하다. 화성과 수원 등 인접한 지역들의 대규모 입주물량도 부담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보인다.
인천
남동구
규제지역은 해제되었으나 여전히 한산하다. 준신축 대단지들을 필두로 저가 구축 단지들의 매매가와 전세가가 동반 하락하고 있다.
광역
대전 서구
도마동과 학하동의 신규 아파트 분양도 청약순위 내에서 마감되지 않고 미계약이 발생하고 있다. 단기적 시장 회복을 기대하기 어렵다고 판단하는 다주택자들의 매물이 증가하고 있으나 수요자들은 저가 매물에도 반응이 없는 상황이다.
지방
세종
양도세 비과세를 받기 위해 처분기한이 임박한 매물들 위주로 급매물만 간혹 거래가 이루어지고 있다. 워낙 위축된 분위기라 규제지역 해제의 영향은 거의 없어보인다.
[ 전세 ]
서울
종로구
불안정한 시장 분위기 및 높은 대출이자 부담으로 이동 수요가 거의 없다. 2017년 2월부터 입주한 홍파동 경희궁자이2단지, 평동 경희궁자이3단지에서 내년 2~3월 계약만기 물건들이 적잖이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송파구
전세보다 월세나 반전세를 찾거나 조정된 현재 시세로 계약을 연장하는 경우가 많으며, 상생임대인 물건도 전세가 하락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특히 헬리오시티는 최초 입주 후 4년차가 되면서 전월세 물건이 많아 가격이 떨어지고 있다.
경기
양주
옥정동 양주옥정신도시2차노블랜드프레스티지(1859세대), 양주옥정신도시대성베르힐(804세대), 양주옥정더원파크빌리지(930세대) 등 2024년까지 예정된 입주물량이 많고, 새 아파트 입주를 위해 처분하려는 물건들도 많다. 그러나 매매와 임대차 모두 거래가 얼어붙어 움직임이 없다.
인천
부평구
올해 입주물량이 1만여 세대에 이어 내년에도 비슷한 규모로 입주가 예정되어 있다. 공급이 많고 대출금리는 계속 높아지면서 전세가격이 작년보다 저렴하게 나오지만, 이마저도 잘 나가지 않고 수요자들은 월세를 더 선호하고 있다.
광역
부산 남구
10월부터 입주한 대연동 대연삼정그린코아더베스트(337세대), 12월 입주예정인 용호동 데시앙해링턴플레이스파크시티(1725세대) 등 내년까지 입주물량이 지속적으로 대기 중으로 새로 입주하는 아파트 잔금 때문에 가격을 조정하는 매물이 많이 나오고 있다.
지방
천안 서북구
학교 문제로 이사오는 임차인들이 간혹 보일 뿐, 매매와 전월세 모두 한산한 분위기이다. 전세보증금 반환을 우려하여 월세를 선호하는 현상이 뚜렷하고, 간간이 이루어지는 전세거래는 이전 실거래가보다 크게 조정된 물건들이다.
문정권처럼 다주택자 죽이기 정책을 현정권이 고수하고 있는한 시장 회복은 힘들어 보입니다.
오히려 시장이 전국적으로 망해야 이를 명분 삼아 몇 년뒤에나 뒤늦게 나서실려나요?
계속 이렇게 시장의 급락을 방치하게 되면 내년에는 상당수의 건설사가 문을 닫거나 건축 사업을 못하게 될지도 모릅니다.
그렇게 되면 5년뒤에 또 공급 부족으로 인한 폭등장이 오겠죠.
호재인지 악재인지 헷갈립니다.
운영이 되시는 분들은 심리에 눌러 던지지 마시고 잘 지키시기 바랍니다.
자산은 모으는 것입니다.